백두대간산림복원지원실은 훼손된 산림을 생태적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백두대간을 중심으로
훼손지 조사 · 분석 및 정보를 구축하고 산림복원 관련 정책 개발, 기술의 표준화와
연구개발 및 지원을 통하여 산림생태계의 연속성과 건강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합니다.
백두대간산림복원지원실
산림생태계 복원 연구에 대한 전문 인력을 갖추고 있으며, 「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」에 따라 산림복원지원센터와 산림복원지 사후 모니터링기관으로 지정되어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.
- 산림복원지원센터 업무
-
- 산림복원 정책의 개발·지원
- 백두대간보호구역 훼손지 조사·분석·관리 및 정보 구축·운영
- 산림복원 관련 기술의 표준화, 매뉴얼 개발 등 연구개발 및 지원 등
-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기관 업무
-
- 산림복원지 사후 모니터링 실행 및 사후관리 방안 등 제시
- 산림복원지 모니터링 자료의 보관 및 관리
- 산림복원지 모니터링 관련 자문·교육 및 제도 개선방안 제시
- 목표
-
- 산림복원 정책·연구
- 연구와 현장을 연계할 수 있는 산림복원 분야의 허브 역할 수행
- 산림복원의 전략 개발·수행을 통한 산림생태계의 건강성 회복 및 산림생물다양성 증진
산림생태계 건강성 확보
- 산림복원 국가정책 지원
- 산림복원 기술표준화, 매뉴얼 개발
- 산림복원용 자생식물 공급기반 마련
백두대간 산림훼손지 복원 연구
훼손지
훼손지 조사
백두대간 산림복원지 사후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 연구
-
01
- 복원지 내 생물상 변화 모니터링
- 복원목표종 생장 변화 모니터링
- 복원재료 및 시설물 현황 등 실태 파악
-
02
- 복원 목표 달성도 및 효과성 분석
- 평가 결과에 따른 사후관리 방안 제시
- 자료분석 및 DB 구축
-
03
산림복원용 자생식물 소재 체계적 확보 및 공급기반 마련
-
-
계획 수립
-
- 산림복원용 자생식물 대상(94종)
- 종 분포 정보 및 종 특성 조사
- 종 특성에 따른 수집 계획 수립
-
-
현장 조사
-
- 종자 채집
- 표본 및 화상 자료 확보
- 채집지 환경 정보 수집
- 이력관리
-
-
공급기반 마련
-
- 종자 발아 특성 조사
- 현지 적응 실험
- 대량 생산 기술 개발
- Seed Mixture 개발